Tuesday, August 10, 2010

온라인 비디오 서비스 분석: Hulu, Qiyi, 그리고 Tving을 중심으로

온라인 비디오 서비스가 전세계적으로 미디어 시장에 노크하고 있습니다.
이미 Hulu가 미국에서 Hulu plus까지 소개 하며 OSMD(One Source Multi Devices)에서 이용 가능한 서비스를 3S 또는 N-Screen을 BM으로 발전시키고 있고, 중국에서도 Qiyi가 유사한 서비스를 시작하며 특히 한국의 드라마와 영상을 소개하며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온라인 비디오 서비스는 온라인이라는 특성 때문에 (합법적일 경우) 저작권 문제만 해결되면 외국 방송을 볼 수 있는 장점을 갖기도 하는데, 실제로 우리나라 방송을 볼 수 있는 서비스가 전세계적으로 많이 있습니다다.

합법적인 회사만 살펴봐도, 미주지역 기반의 http://www.dramafever.com/, http://www.viikii.net/ 브라질의 http://www.kdrama.com.br/, 유럽지역(벨기에 기반)의 http://www.dramapassion.com/, 말레이시아의 http://www.maaduu.com/, 홍콩의 http://www.now.com.hk/, 필리핀의 http://www.mypinoy.tv/, 대만의 http://hichannel.hinet.net/  등 대부분이  지역 한정(geo-block)으로 서비스 되고 있습니다.

중국은 한류의 인기가 반영되어 꽤 많은 서비스사가 있는데 http://www.sohu.com/, http://www.joy.cn/http://www.youku.com/  등이 있고, 일본은 http://www.showtime.jp/, http://bb.goo.ne.jp/, http://www.yahoo.co.jp/ 등이 있습니다.

온라인 비디오 서비스의 최대 장점은 추후 영상산업의 핵심이 될 3S, N-Screen을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이죠. 컴퓨터는 물론이거니와 휴대전화, 타블렛 등에도 끊임없이(seamless) 이동하며 볼 수 있다는 점이죠. 물론 해결해야 할 점도 많습니다. 비디오 용량을 자연스럽게 스트리밍할 수 있는 하드웨어적, 소프트웨어적 업그레이드는 두말할 것도 없고, 저작권 해결과 급등하는 콘텐츠 비용도 만만한 것은 아니죠. 그러나 인간이 기본적으로 '모바일/노마드'하는 속성을 갖고 있는 존재라는 것을 인식한다면 이러한 서비스가 앞으로 유망한 비즈니스가 될 것이라는 예상은 그리 어렵지 않을 것입니다.


여기에서는 간단하게 미국의 Hulu, 중국의 Qiyi, 그리고 우리나라의 Tving을 비교해보며 앞으로 온라인 비디오 서비스가 어떻게 진행될지 살펴보고자 합니다.
 
이 세개 회사의 공통점은
1. 컨텐츠의 라이센스 부분. Youtube나 youku등이 저작권에 대한 문제로 끊임없이 비판받고 있는 것과 반해 위의 회사는 모든 콘텐츠를 저작권자들과 라이센스 계약을 맺음으로서 이 부분에 대한 마찰을 해결.

2. 일반 이용자들의 UCC를 제공하지 않는다.
Qiyi.com의 CEO 공유는 "UCC를 제공하는 것은 고려해 본 적이 없다. 네티즌들이 만든 콘텐츠 품질을 아직 믿을 수 없기 때문이다. 광고주들도 신뢰하지 않고, 또 UCC를 허용하게 되면 트래픽을 많이 차지하기 때문에 비용이 높아진다" 라고 답변(김재철, 2010. 5. 24, 블로그).


Hulu.com

서비스 시작: 2007년 3월
225개 콘텐츠 제작 회사 참여
천개 이상의 영화와 다큐 제공
다수의 비디오 클립.

특징:
1. 모기업인 NBC, News Corp.의 콘텐츠뿐만 아니라 Sony Pictures, Warner Brothers 등의 미디어 기업과 제휴를 맺어 TV프로그램과 영화 등 폭넓은 프리미엄 콘텐츠를 제공.

2. SNS 활용한 서비스와 pre-release 통한 마케팅

3. 안정된 콘텐츠 수급과 다양한 서비스, 공격적인 마케팅 전략을 통해 시청자 수는 물론 광고 매출 역시 증가.


Qiyi.com


서비스 시작: 2010년 5월
Qiyi.com은 중국 최대 검색엔진인 Baidu.com의 인터넷 비디오 서비스 자회사.
미국의 Providence Equity Partners가 5천만 달러를 투자.

특징:
1. 회원 가입 없이 콘텐츠를 볼 수 있으며, 접근에 제한이 없다. (국가적 제한이 없음)

2. 이미 방송된 콘텐츠만 볼 수 있으며 실시간 방송은 서비스 되지 않는다.

3. 이용자가 업로드 할 수 없으며 전적으로 Qiyi.com이 콘텐츠를 제공한다.

4. 현재 이용자들에게 노출되는 광고가 없다.

5. HD급의 영상 제공. 빠른 스트리밍. 다만 스트리밍이 무한 정 되는 것이 아니라 이용자가 보는 양 만큼 스트리밍이 이루어지는 방식.

6. 모든 콘텐츠는 무료로 제공.


TVing.com
서비스 시작: 2010년 5월 3일
IPTV서비스를 웹에서 재송출해주는 부가서비스 성격이 강한 듯
실시간 재송출 서비스만 제공 (hulu 와 qiyi의 확연한 차이)
이용료 월3000원
KBS TV시청 가능
채널: 약60개(홈쇼핑채널제외)
화질: HD급 (최대 960x540)

특징:
1. 곰플레이어로 시청시 추가로 광고시청후 영상시청 (추가 수익모델)

2. 모든 방송이 HD급이 아니고, 몇몇 방송사만 HD급 서비스 제공

3. 실시간 재송출 서비스만 제공 (hulu 와 qiyi의 확연한 차이)

4. 다시보기 및 다운로드 X (VOD서비스는 GOMTV서비스로 연결됨)

5. ActiveX 기반 웹서비스 즉, IE로만 접근가능

6. Mac 기반 PC에서는 서비스 이용X

7. 현재 TV에서 나오는 광고까지 시청하게 됨


모회사
Hulu: News Corps.(FOX), GE(NBC 유니버셜), Walt Disney(ABC)
Qiyi: 포털사이트 Baidu
Tving: 케이블사업자 CJ헬로비전

콘텐츠 제공 유형
Hulu: 방송사별 보유한 콘텐츠
Qiyi: 콘텐츠 배급사와 라이선스 계약을 맺은 콘텐츠
Tving: 케이블/통신사업자가 확보한 콘텐츠

공통점: 저작권문제가 해결된 콘텐츠
차이점: Hulu는 방송사, Qyiy는 포털사이트, Tving은 케이블사업자이기 때문에 컨텐츠 수급방식에 대한 차이가 발생

콘텐츠 제공 방식
Hulu: 각 에피소드별 VOD서비스
Qiyi: 각 에피소드별 VOD서비스
Tving: 59채널의 TVE(TV Everywhere)서비스 + VOD서비스,

차이점: Tving은 TVE서비스를 제공함을 중심으로 기존 곰TV내에서의 서비스 되던 VOD서비스를 공유

과금체계 (월 기준)
Hulu: 부분유료, HuluPlus 신청시 월9.99달러의 유료서비스
Qiyi: 무료
Tving: 유료, 월정기결제 신청시 월 3,000원(부가세별도), 성인전문채널 1개추가시 월 5,500원(부가세 별도), 성인전문채널2개 추가시 월13,000원

제공서비스
Hulu: 무료서비스, 최대 480p(720x480)까지 제공, 최근 5개의 에피소드만 제공, 나머지 에피소드는 주요장면 클립으로 제공, 자국 내 접속만 허용
HuluPlus: 유료서비스, 최대 720P(1280x720)까지 제공, 모든 시즌의 모든 에피소드 제공, Iphone, PS3등 다양한 디바이스를 지원, 지역제한 없음
Qiyi: 무료서비스, 해상도 미확인, 모든 시즌의 모든 에피소드 제공, 모바일지원 검토중
Tving: 유료서비스, 최대 960x540까지 제공, CJ헬로비전에서 제공하는 케이블 방송을 실시간으로 인터넷브라우저와 곰TV플레이어에서 시청가능(재송출에 따른 TV와 인터넷TV간 시간차 발생), 성인콘텐츠와 곰TV VOD콘텐츠 이용시 추가금액 발생, 모바일 지원 검토중, 저작권 문제로 국내에서만 접속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