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posts with label ny.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ny. Show all posts

Tuesday, March 19, 2013

눈과 봄 방학

내가 박사학위를 받은 곳은 미시간.
눈 많이 오기로 치면 손에 꼽을 정도이다.
미시간에 눈이 많이 오는 이유는 바로 왼쪽에 5대호가 있고, 5대호에서 바람의 방향이 미시간 쪽으로 불기 때문이다. 유학을 간 첫 학기 final 전 주였던, 2000년 12월에 미시간에 blizzard가 왔는데, 역사상 몇번 없다는 눈에 의한 휴교를 경험했다.




미시간 주지사의 당락은 겨울에 제설작업을 얼마나 잘했는가로 평가받는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눈이 많이 오고, 그런 이유로 제설 작업을 기가 막히게 잘 한다. 미시간에서 눈은 시도 때도 없이 내리고 계절을 불문한다. 3, 4월까지 진눈깨비가 날리는 것은 특이한 일이 아니며, 2002년인가 2003년에는 봄학기 final을 치고 나오는데 진눈깨비가 내린 적도 있었다. 즉, 5월 둘째 중에도 진눈깨비가 날렸다는 얘기다. 물론 10월 말에 눈발이 흩날린 적도 있다. ㅠㅠ

최근 기상 이변의 이유도 있겠지만, 뉴욕에서도 눈이 많이 내린다. 2월 5일에 뉴욕에 도착해서 여장을 풀기가 무섭게 2월 7일에 폭설을 경험했다. 작년 여름에 허리케인 샌디때문에 뉴욕시민들이 겪은 고생이 이만저만이 아니여서, 이번 폭설에는 마켓마다 많은 사람들이 미리부터 물건을 사재기 하는 모습을 곳곳에서 보였다. 특히나 물의 경우는 우리 동네 대형 수퍼인 D'agostino에 다 팔릴 정도로 재난에 대한 두려움이 강했다. 후에 들은 얘기이지만, 샌디 때문에 전기가 끊기고, 먹을 것, 기름 등의 부족으로 주유소나 수퍼에 무장 경찰이 배치될 정도였다고 한다.


2월 10일 찍은 거리 모습

 










         여기는 central park

내가 있는 컬럼비아 대학은 이번 주가 봄 방학이다. 봄!!! 얼마나 듣기 좋은 단어인가. 그러나 이번 주 내내 예상 기온은 영상 5~6도를 넘지 못하고, 눈과 비 소식도 들린다. 오늘은 학생 때의 추억도 상기할겸, 연구실이 아닌 학교 도서관에서 공부를 하려고 도서관으로 들어서는 순간 괜히 사진을 찍고 싶은 생각이 들어 무심코 한장 찍었는데 좋은 얘기거리가 생겼다.

3월 18일 오후 3시 경 도서관에서 바라 본 캠퍼스 전경

오후에 도서관에 있다가 집에 가기 위해 나오니... 아뿔싸... 눈이... 세상에 3월 중순 봄방학에 눈이라... 어찌 미시간 생활이 떠오르지 않으소냐...

3월 18일 저녁 7시 경 도서관 옆쪽에서 바라 본 눈 쌓인 캠퍼스 전경

지금도 밖에는 눈이 내리고, 이러다가 내일 아이들 학교는 휴강이 될 것 같고... 추억은 아름답다고 했던가? 미시간에서 눈 날릴때 자전거를 타고 도서관을 오가던 생각도 나고, 늦은 밤 시간 연구실을 나오며 눈을 맞고 피던 담배는 어찌 그리 맛있었는지... 유학 첫 겨울 아내의 차 사고로 차는 폐차가 되었지만 아내는 말짱하고, 보험금은 차 구매액의 두배를 받아 그 돈으로 여행도 하고... 봄눈으로 해서 이런 저런 생각으로 즐거운 밤이다.

사람 반, 개 반

'물 반, 고기 반'이라는 표현이 있다.
그만큼 고기가 많다는 의미이다.



미국인들은 개를 참 좋아한다. 
고양이와 같이 집에서 키우는 동물도 많겠지만, 개는 운동을 시키기 위해 산책을 함께 하니 곳곳에서 볼 수 있다. 뉴욕처럼 인구 밀집도가 높은 지역은 특히나 곳곳에서 개와 함께 산책을 다니는 사람들을 자주 볼 수있는데, 성별, 나이, 인종 불문하고 새벽이든 밤늦은 시간이든 어느 곳에서나 개와 함께 산책하는 사람들을 볼 수 있다. 해가 쨍하고 떠 있는 시간대에는 '사람 반, 개 반'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길거리에 개가 '풍년'이다. 개의 종류도 천양지차. 숏다리 닥스훈트에서 셰퍼드, 리트리버종, 시베리언 허스키, 심지어 아프칸하운드까지 별별 개를 다 볼 수 있다.

이런 상황이다 보니 개로 인한 다양한 상황을 접할 수 있다.
제일 자주 경험하는 것은 개똥...
개똥과 개똥자국은 정말 피해갈 수 없을 정도로 널려있기때문에, 개똥만 안밟으면 다행일 정도이다. 물론 개주인들은 비닐봉투를 가지고 다니며 뒷처리를 하지만, 개가 많다보니  그중 단지 1%만 똥을 안치워도 길거리에 개똥이 넘치는 것은 하등 이상할 것이 못되어 보인다. 똥이 이럴 지경이니 개가 싼 오줌은 두말 할 것도 없고... 한번은 작은 애가 눈 오는 날 길을 걷다가 "와, 설사 되겠다..."라고 혼잣말을 하기도 했는데, 그 뜻이 바로 널려있는 개똥과 눈이 함께 섞이니 설사가 된다고 표현한 것이다. 


이런 상황이다 보니 낯선 표현도 보인다.
자, 아래의 표지판을 해석하면 무슨 뜻일까?


curb란 뜻을 이렇게 배울 수 있었는데, restrain or keep in check란 뜻이다. 즉, 화단에 똥이나 오줌싸지 못하게 개를 잘 관리하라는 의미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개똥 싸지 않게 잘 돌보라는 의미로 곳곳에 이런 안내표시가 있다 보니까 다음의 사이트와 같이 재미있는 표현을모아두기도 했다.

또한 공원에 개를 위한 놀이터도 있다.
작은 개를 위한 놀이터와


큰 개를 위한 놀이터를 구분해서 작은 개도 마음껏 뛰어놀 수 있게 배려를 한다.


그리고 이용 수칙.


개를 가족과 같이 생각하는 사람들이다 보니 개들을 위한 놀이 공간을 만들어야겠다는 생각까지 했으리라... 그러나 무엇보다도 뉴욕에서 개때문에 가장 놀랐던 경험은 바로...


바로 dog day care center이다. 사진 속의 가게는 Biscuits & Bath (http://lifehacker.com/5990665/redbox-instant-launches-with-netflix+style-streaming-movies) 곳으로 뉴욕에 있는 수십개의 가게 중 하나이다. 이곳은 1990년에 처음 사업을 시작한 이후, 맨하튼에만 8개의 가게를 운영 중이다. 각 개의 특성에 맞춰 밥주고, 운동시켜주고, 잠자는 것 확인하고, 산책시켜주고, 심지어 'socializing'도 한다고 한다!!!

집에서 키우는 개나 고양이 등을 인간과 다른 단지 '동물'의 관점에서 본다면 뉴욕에서의 개들은 호강하고 있는 것 같기도 하고, 가족 구성원의 일부로 본다면 그럴 수도 있겠다 싶기도 하다. 결혼 전에 우리 집은 마당이 있어서 한때 6~7마리의 개를 기르기도 했고, 불독에서부터 시추, 진도개 등 다양한 종류의 개를 키우기도 했다. 그러나 키우던 개나 물고기 등이 죽는 것을 보고 다시는 살아있는 무엇도 키우려 하지 않았다. 죽음이라는 것을 경험하는 것이 싫었고, 함께 하던 친구(?)와 떨어지는 것도 싫었기 때문이다. 이제 두 아이들이 개를 키우겠다고 난리법석이다. 아이들을 위해서라도 마음을 바꾸어야 할지, 뉴욕생활에서 다시 결정해야할 것 같다.

Sunday, March 10, 2013

휴대전화와 인터넷


한국에서 미국으로 이사를 와서 가장 먼저해야 할 일 전화와 인터넷 설치일 것이다.

먼저 전화...
이제 휴대전화때문에 집전화는 별 필요가 없는 것 같다.
다만, 한국에 계신 부모님 등과도 전화를 해야 하기때문에 한국에서 사용하던 070전화를 가져와서 사용하는 것은 국제전화비를 아낄 수 있는 좋은 방안이 된다. 우리 집에서는 LG U+ 070전화를 사용했기 때문에 서울에서 사용하던 인터넷과 IPTV는 해지하고, 전화만 갖고 왔다. 그리고 이곳에서 인터넷 망을 개설한 후 별 문제없이 070전화를 사용할 수 있었다.
(070전화 해외 사용에 관해서는 http://cafe.naver.com/user070/ 카페에 가입하면 설치에 관한 거의 모든 팁을 배울 수 있다.)

휴대전화...
문제는 휴대전화이다. 사실, 4세대 통신이라고 하는 LTE가 소개되기 전만 하더라도 아이폰을 갖고 미국에 와서는 미국 통신사 심카드를 이용해서 전화를 사용하기도 했다. 미국에 와서 몇개월씩 있어야 할 때. 그리고 아이폰이 가져다 준 편리함을 잊을 수가 없을 때 심카드만 바꿔낌으로 해서 한국과 미국 두나라에서 하나의 휴대전화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은 작지 않은 편리함을 가져다 주었다. 그러나 LTE는 다르다.
LTE는 3G와 달리 국가마다 주파수 대역이 달라 심카드만 바꿔 끼우는 것으로 휴대전화를 사용할 수 없다. LTE의 예로 표준화의 중요성을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각 나라마다 표준화된 주파수 대역이 없으므로, 가령 아이폰5가 출시될 때 국내 LTE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느냐 마느냐 추측이 난무하기도 했었다. 


이러한 문제로 휴대전화를 새로 구매하기보다는 한국에서 중고 아이폰을 구매해서 뉴욕에서 carrier만 고르는 방식으로 해결하고자 했다. 어차피 미국에서 1년만 살기때문에 미국에서 LTE폰을 사봐야 1년밖에 못쓰고 한국에서 새로 구매해야하기때문에, 3G폰을 이용하는 것이 더 경제적이기때문이다. 가격도 중고이기때문에 무난하고 한국에서 중고를 살 경우는 미국과 달리 직접 보고 구매할 수 있다는 장점도 고려했다. 따라서 아이폰 3대를 갖고 미국으로 왔다. 한국에서 사용하던 전화번호를 버릴 수는 없기에 아이폰3GS는 한국에서 오는 메시지만 수신하는 용도로(특히 전화를 통해 인증번호를 수신하는 경우가 적지 않기 때문에 꼭!! 있어야 한다), 아이폰4는 아내와 나의 미국 전화로 사용하기로 했다. 이럴 경우 휴대전화를 갖고 있기 때문에 carrier를 선택하는데 유리한데, 1년 또는 2년 약정과 같은 contract를 맺을 필요가 없어서 저렴한 플랜을 선택할 수 있다. 우리는 H2O라는 통신망을 선택했는데, 이 회사는 AT&T가 MVNO로 운영하는 회사이다. MVNO사는 통신망을 운영하는 통신사에서 통신망을 임대해서 하는 사업자로 우리나라에서도 작년 10월 기준으로 24개 사업자가 활동하고 있다 (http://www.mediau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898). 첫달은 어느 정도 사용할지 결정을 못해서 60불 플랜으로 결정했는데, 여기에는 무제한 통화와 SMS, 2G 데이터 그리고 20불 무료 국제전화가  제공된다. 50불 플랜의 경우 국제전화를 무제한 무료로 제공하기도 하는데 안타깝게도 한국은 무료제공 국가에 포함이 되지 않았다 (https://www.h2owirelessnow.com/pageControl.php?page=plans&category=W).
두달째인 3월부터는 아내는 60불 플랜과 나는 50불 플랜을 사용하는데, 앞으로 나의 경우는 40불 플랜으로 바꿀까 실험 중이다. 40불이라 해봐야 100메가밖에 되지 않지만, 집과 학교에서 그리고 스타벅스에서 무료 와이파이를 사용하기에 실제로 통신망으로 100메가까지 쓸 수 있을지 모르겠다. 이동 중에 인터넷을 사용하기도 하지만, 뉴욕의 지하철은 통신망이 안깔려 있어서 말 그대로 '지하'에 있을 때는 통신망을 사용할 수도 없다. 대부분 집과 학교에서 생활하고 이동 중에 인터넷을 사용할 여건이 안되서 월 100메가도 충분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3월에 500메가, 4월에 100메가 사용을 실험해 보련다.



요금제에서 가장 싼 30불 컨트랙트도 무제한 통화와 메시지를 제공하는데, 이렇게 무제한 서비스를 경험하니 한국에서 뉴스로만 접하던 구글 보이스 같은 무료 전화 서비스에 대한 부러움이 없어졌다. 구굴 보이스가 소개되고, imessage가 무료로 사용되는 환경이 점차 확대되니 carrier들은 고육지책이겠지만, 무제한 통화와 메시지를 제공했던 것인데, 실제로 통화량은 갈수록 줄어들고 있는 상황이어서 별 문제가 안되고 다만 메시지의 경우는 일정 정도 손해를 감소한 것이다. 그러나 대신에 데이터량으로 새로운 가격제를 책정하다 보니까 나처럼 500메가는 약간 부족한 듯한 사람들이 10불을 더 지불하여 2기가 플랜을 채택하게 되니 궁극적으로 케리어에게도 굿딜이 아닐까 생각한다. 이제 휴대전화 플랜을 구매하는데 통화량과 텍스트 사용은 더 이상 중요하지 않다. 어느 정도의 데이터량을 사용하느냐!! 이게 핵심이다. 내가 사용하는 데이터량을 어떻게 조정하느냐에 따라 40불에서 60불까지 월 20불을 아낄 수도 있는 것이다.

인터넷...
한국도 그렇지만 인터넷 캐리어들은 TV와 집전화 등을 함께 묶어 번들로 제공한다. 물론 그렇게 해야 가격이 싸므로 이용자들에게도 이득이 되고. 그런데 한국에서 사용하다 미국에서 동일한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비용 상승이 만만치 않다. 나는 timewarnercable을 이용하게 됐는데, 처음에는 우선 인터넷과 TV 번들 서비스를 신청하고 한국에서 공부하던 다양한 OTT서비스를 테스트해보고자 했다. 이렇게 하니 첫달 가격이 세전 총 $135.13이 나왔다. 물론 여기에는 처음 세팅할 때 드는 비용이 포함되어 있는데, 설령 이것을 뺀다고 하더라도 세전 $110.24이나 된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까 한국에서 듣던 cord-cutting이 이해가 된다. 내가 사용하는 인터넷 속도는 20 Mbps인데, 이 속도로 인터넷을 사용하면 월 $71.80이니 케이블 TV 사용료가 40불이나 더 드는 것이다. TV에 대한 내용은 따로 얘기하도록 하고, 그래서 결국 TV는 다른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으로 하고, 인터넷만 사용하기로 했다.



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인터넷 속도가 정말 안습이다. 집에서 인터넷을 하다보면, 정말 속이 부글부글 끓는다. 미국에서 이 정도 속도를 쓰기 위해 8만원 돈을 내고 있으니 답답해 미칠 지경이다. 이미 많이 알려진 내용이지만, 한국의 인터넷 서비스는 세계 최고이다. 속도는 물론 각종 서비스를 생각해볼 때 미국과 유럽의 캐리어들과 비교해보면 그 어느 것 하나 부럽지 않을 정도이다. 유럽과 미국을 갈 때마다 느끼는 바이지만, 이렇게 훌륭한 인프라를 갖추어 놓고도 만족스러운 비즈니스 생태계를 갖추지 못하는 점에 대해서 유감이다. 개인과 정부가 정보 소비보다는 생산으로 역량을 돌릴 수 있게끔 산학관의 협력이 필요하다. 이번에 또 느끼는 바지만, 네트워크 기반으로만 봤을 때 대한민국 만세다!!! 

Monday, February 11, 2013

출국

2013년은 병원생활로부터 시작했다. 2월 5일 출국을 앞두고 몸관리를 한다는 것이 생각치도 못하게 큰 일로 발전했다. 내 기억으로는 첫 입원이 아닌가 싶을 정도인데, 1월 2일 목디스크로 입원해서 22일 퇴원을 했고 그 전후로 한달여 치료를 받았다. 1년 동안의 타지 생활을 준비하는 과정으로 생각하고 제대로 치료를 받고자 했는데, 그 성과는 앞으로 미국 생활을 하는 동안 몸상태가 어떠한가의 결과가 입증해 줄 것이다.

자연스레 출국준비를 제대로 하지 못했다. 하긴 집에 있는다고 해도 이런저런 약속으로 여전히 준비해야 할 일을 제대로 끝내지는 못했겠지만, 모든 일을 아내가 하게 되어 나는 더 편하게 지낸 셈이 되었다. 집에 있는 짐을 1년간 창고(02-517-0279, http://www.koreaware.com, 3.5평에 1,039,500원)에 두어야 하기 때문에 손상이 우려되는 옷이나 가전제품은 부모님 댁과 연구실로 옮기고, 미국에서 읽을 애들 책들을 미리 보내는 등의 수고는 아내가 대신 했다. 준비하려고 하려면야 많은 손이 가고 고생도 이만저만이 아닐 것이지만, 그래도 오랜 미국생활 덕분에 큰 무리는 없었던 것 같다. 미국에서 지낼 학교 선정과 비자발급도 매우 신속했던 것 같다. 10월 27일에 미국에 있는 학교에 연구년 초청 관련 첫 메일을 보냈고, 12월 19일에 DS-2019가 발급되었으며, 1월 2일에 비자가 발급되었으니 두달여밖에 걸리지 않은 것이다. 이것도 사실 내가 준비를 잘못한 관계로 서류를 제때 보내지 못해 근 2주를 허비했으니 미국 학교에서 진행한 과정은 더 이상 빠를 수 없을 정도로 매우 만족스러웠다.

Manhattan, NY에서 산다는 것은 장점과 단점을 극명하게 보여준다. 대표적인 단점이 주거이다. 집을 구하기도 힘들고, 렌트비가 비싸며, 1년 deposit을 하지 않는 이상 요구하는 서류도 많고(회사에서 관리하기때문에 시스템으로 운영된다), 애들 학교도 고민해야 하는 등 일반적인 미국 유학 생활과는 전혀 다른 차원으로 접근해야 한다. 만일 Michigan이나 여기 Manhattan에서 다리만 건너면 되는 New Jersey나 Queens 또는 Brooklyn으로 간다면 적어도 상당 부분 많은 고민이 줄 것이다. 그러나 우리 부부는 Manhattan에 살면서 그 경험을 극대화하자는 생각이었기 때문에 뉴욕 생활을 결정했을 때부터 아예 Manhattan 집을 알아보았다. 다행히 3년 전에 이곳 생활을 한 적이 있어서 우여곡절이 있었지만 1년 동안 거처할 곳을 출국 전에 구했고, 뉴욕에 도착하자마자 입주할 수 있었다.

지난 10년을 생각해보니 한 곳에 정착한 곳이 길어야 3년이었다. 2004년에 East Lansing, Michigan에서 Athens, Ohio로, 2005년에 Ohio에서 Fayetteville, Arkansas로, 2006년에 Fayetteville에서 Rogers, AR로, 2007년에 Arkanasas에서 서울 신대방동으로, 2009년에 신대방동에서 종암동으로... 10년 사이에 5번을 이동했고, 짧게는 1년 길게는 3년을 조금 넘게 산 식이니 어디로 움직인다는 것에 대한 두려움이 상대적으로 적은 것 같다. 이러한 이사 중에 2009~2010년 사이에 뉴욕에서 약 6개월을 살기도 했고, 짧게는 1박에서 길게는 10일 이상의 가족 여행을 적어도 2주에 한번은 해왔으니 한 곳에만 머무르는 생활이 오히려 길지 않았던 것 같다. 앞으로도 얼마나 많이 돌아다닐지...

2월 4일 이사(창고 동일회사, 사다리차 포함 1,250,000원)는 9시에 시작해서 1시경 끝났고, 이후 미리 팔아두었던 자동차를 구청에서 인계하는 것으로 출국 준비를 끝내게 되었다. 아시아나 항공을 타고 가기때문에 1인당 23kg짐 2개를 갖고 갈 수 있고, 또한 끌고 메고 갈 수 있는 짐을 챙겨야 하기 때문에 짐이 총 20여개가 되었다. 공항까지 가는 것도 쉬운 일이 아니었다. 그래서 생각한게 호텔에서 잠을 자고 공항버스를 통해 이동하는 것이었다. 집 앞에 Holiday Inn 성북이 있어서 그곳으로 짐을 옮기고 아침에 공항버스를 타고 이동하였다(공항버스는 짐이 많은 관계로 추가로 1인 요금을 더 지불하였다).

다른 나라로 이주해서 1년간 산다는 것은 작은 일은 아니다. 만일 한번도 산 적이 없었던 유럽으로 간다면? 언어가 통하지 않는다면? 쉽지 않았을 것 같다. 이런 점에서 뉴욕 생활은 많은 이점을 갖고 출발하는 게 사실이다. 이제 연구와 생활에서 장점을 최대한 극대화하는 것이 연구년의 성패를 좌우하는 것일게다.